정의를 실천하는 이순신 포럼

충무공 이순신 > 온라인 유적지 탐방

56 건의 게시물이 등록되어 있습니다.

검색하기

노량해전 코스2 (충렬사) (0)
관리자 | 2014.03.27
남해 충렬사 (南海 忠烈祠)남해충렬사는 임진왜란이 끝나던 해 노량해전에서 순국한 충무공 이순신의 충의와 넋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으로 노량충렬사라고도 한다. 통영의 충렬사와 함께 ‘충렬’이란 현판을 처음부터 같이 사용해 왔으며 인조 때 지어졌다. 충무공이 전사한 후 그의 시신이 한 때 이곳에 모셔졌는
노량해전 코스1 (화엄사) (0)
관리자 | 2014.03.27
화엄사(華嚴寺)백제 성왕 22년(544년)에 연기조사가 창건초기에는 해회당 (海會堂)과 대웅상적광전(大雄常寂光殿)만 세웠고 그 후에 선덕여왕 12년(643)자장율사, 헌강왕1년(875년)도선국사가 증축하였는데 문무왕때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돌아와 화엄십찰(華嚴十刹)을 세우면서 큰 가람을 이루었다고 합니다
전라좌수영 코스 9 (흥국사) (0)
관리자 | 2013.07.25
고려 명종 25년(1195)에 보조국사 지눌이 창건하였다.임진왜란 시 의승수군 본부가 되어 자운, 옥형 두 승장의 지휘 하에 700여명의 3도 승려가 모여 이순신장군과 같이 왜적을 물리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. 흥국사에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 일주문 '영취산흥국사'라는 현판이 선명하다일주문 옆에 가지런히 놓
전라좌수영 코스 8 (순천 충무사) (0)
관리자 | 2013.07.25
임진왜란이 끝난 뒤 약 100년후 이곳에 이주해온 주민들이 신성리성 전투에서 많은 왜구니 죽어 그 왜귀(倭鬼)가 밤이면 자주 출몰하여 몹시 불안하므로 이곳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위패와 영정을 모시고 제사를 지낸 뒤부터는 안락한 생활을 하였다고 한다.1943년 가을 일제가 민족정신 말살정책으로 사당을 소
전라좌수영 코스 7 (충민사) (0)
관리자 | 2013.07.25
사적 381호. 조선시대. 여수8경 가운데 제7경. 이 사당은 이순신이 전사한 3년 뒤인 1601년(선조 34) 왕명으로 우의정 이항복(李恒福)이 현지시찰을 하고 통제사 이시언(李時言)의 주관 아래 건립, 사액(賜額)된 충무공 관련 사액사당 제1호다. 원래는 충무공 주향(主享)에 전라좌수사 의민

1   2   3   4   5   6   7   8   9   10